이번에는 서화에 관련된 일화로 유래된 고사성어 畵巳添足(화사첨족) 과 畵餠充饑(화병충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화사첨족은 쓸데없는 군짓을 하다 도리어 일을 그르치는 것을 말하고, 화병충기는 우리말 속담의 그림의 떡에 해당되는 성어입니다.

畵巳添足(화사첨족)
그림 畵, 뱀 巳, 덜할 添, 발 足.
뱀을 그리면서 다리를 덧그린다. 하지 않아도 될 쓸데없는 일을 덧붙여 하다가 일을 망치는 것을 말합니다.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에서 제사를 주관하던 한 관리가 춘제(春祭)를 지낸 후 제주(祭酒)를 가지고 나와 하인들에게 주었습니다. 그러나 제사에 올린 술이 한 잔밖에 없어 나눠 마실 수가 없었습니다. 이때 한 하인이 뱀그리기 시합을 해서 빨리 그리는 사람이 그 술을 마시기로 하자고 제안을 했습니다.
모든 하인이 뱀을 그리기 시작한 후 한 하인이 재빨리 뱀을 다 그린 후 술잔을 차지하고 의기양양해 하고 있었습니다. 그 하인이 술을 막 마시려다 다른 하인들이 아직도 뱀을 그리고 있는 것을 보고, 왼손에 술잔을 든 채 오른손으로 자기가 그린 뱀에 다리를 덧그리기 시작했습니다.
다리 하나를 막 그렸을 때 다른 하인이 술잔을 빼앗으면서 말했습니다.
"뱀은 본래 발이 없는 동물이야. 너는 뱀에 다리를 덧그린 쓸데 없는 짓을 한거야"라고 하더니 술잔을 쭈욱 들이켰습니다.
우리말에서 필요하지 않은 데 덧붙여진 것을 일컫는 사족(蛇足)이라는 말은 畵巳添足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畵餠充饑(화병충기)
그림 畵, 떡 餠, 채울 充, 주릴饑.
우리말 속담에 전혀 실용성이 없는 것을 가리켜 그림의 떡이라고 합니다. 화병충기라는 성어가 바로 이에 해당합니다.
중국 삼국시대 위 명제 때 학문이 해박하고 백성을 긍휼히 여기는 노육이란 대신이 있었습니다. 명제는 노육을 매우 신임하였습니다.
어느날 명제는 노육에게 증서량에 임명할 인물을 추전하라고 하면서 이런 당부를 했습니다.
"사람을 추천할 때는 단순히 명성만 보지 마시오. 명성이란 畵餠充饑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오"
그러나 노육의 생각은 명제와 달랐습니다.
"폐하의 말씀이 일리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명성이 있는 자라도 법규를 잘 지키고 재능과 학식이 있는 자를 앙모하는 사람이면 업무를 잘 수행할 것입니다. 따라서 명성을 경시하는 것이 꼭 합당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성어 화병충기는 이렇게 위 명제와 대신 노육 간의 대화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림의 떡으로 배를 채운다. 공상을 통하여 마음의 위로를 받는 전혀 실속이 없다는 뜻입니다.
'도서•창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100만 돌파 슬램덩크보다 빨라 (0) | 2023.05.03 |
---|---|
작품 '코미디언' 12만 달러 바나나 먹은 것도 예술행위 (0) | 2023.05.02 |
환골탈태 시문에서 비롯된 익숙한 고사성어 (0) | 2023.04.21 |
'고별',하이든 교향곡 45번 (0) | 2023.03.13 |
초속 1,400km로 달리는 산타의 썰매 (0) | 2023.03.12 |
댓글